Code Etc/코딩테스트

최대 공약수와 최소공배수

CoderHan 2022. 11. 9. 10:33
반응형

유클리드 호제법을 이용한 구현

유클리드 호제법의 기본 원리는 num1를 num2로 나눈 나머지를 r이라고 했을 때, GCD(num1, num2) = GCD(num2, r)과 같다는 것이다.

r이 0이라면, 그 때의 num2가 최대공약수이다.

num1=24, num2=16을 가정하면, GCD(24, 16) = GCD(16, 8) = GCD(8, 0)

GCD = 8

 

위 글은 아래에서 가져왔다.

 

JavaScript로 최대공약수(GCD), 최소공배수(LCM) 구하기

최대공약수는 두 수 A와 B의 공통된 약수 중에 가장 큰 정수이다.최대공약수를 구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2부터 min(A, B)까지 모든 정수로 나누어보는 방법이다.두 수, 혹은 그 이상의 여러 수의 공

velog.io

 

 

최대공약수를 위와 같은 유클리드호제법으로 구하면 최소공배수는

두 수의 곱을 최대공약수로 나눠주면 간단하게 끝난다.

 

유클리드 호제법 : 1를 2로나눈 나머지를 2로 다시 나누기를 반복하여 0을 얻으면 그 수가 최대공약수이다.

 

 

,,,여담

요즘은 TypeScript강의를 듣고 있는데 들으면서 정리를 하려고 했지만

카테고리가 애매해졌다. Type에 관한 내용은 분명 TypeScript가 맞는데 OOP(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과 같은 내용들이 더욱 많아서 분류가 어려워졌다.

 

TypeScript로 프로그래밍을 새로 하고 있는데, 리액트 구현사항을 내가 손수 다 만드는 느낌이다.

멘붕도 왔고 정말 어렵다고 느꼈지만 어려운 것을 해내야 발전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꾸준하게 해 볼 생각이다....포스팅은 좀 뜸하겠지만 공부는 꾸준히!!! 화이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