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드
-
CORS Policy 문제 Express로 바로 해결하기! - CodeHan의 코딩공부BackEnd/개념정리 2022. 9. 14. 12:05
CORS란? Cross-origin resource sharing의 약자로 한국말로 하면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를 뜻한다. 브라우저에서만 가지고있는 CORS 정책이다.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같은 도메인에 있다면 정보를 주고 받는데 지장이 없지만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다른 도메인이라면 원칙적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것이 금지되어있다. 어려우니까 쉽게 설명하면 클라이언트랑 서버랑 도메인이 다르면 아무것도 주고받을 수 없다는 뜻이다. 따라서 가능하게하려면 Server에서 Header에 Access-Control-Allow-Origin을 첨가하여 보내주어야한다. Express에서 쓰는 법 App.use((req, res, next) => { Res.setHeader('Access-Control-Allow-Origin'..
-
ExpressJs 유용한 미들웨어 모음 - CodeHan의 코딩공부BackEnd/개념정리 2022. 9. 14. 12:01
유용한 미들웨어란 우리의 서버를 보다 강력하고 안전하게 만들어준다. 또 개발자의 편의를 도와 보다 효율적으로 서버를 구축해나갈 수 있다. Express.json : REST API에서 전달받은 내용을 Body로 집어넣어준다 Express.urlencoded({option}) : HTML FORM에서 전달받은 내용을 Body로 집어넣어준다. Express.static('폴더경로', option) : 지정한 경로 내 존재하는 파일에 대한 접근을 따로 코드 작성없이 허용한다. 옵션도 오브젝트형식으로 전달 가능하다 App.use(cors()); : CORS정책을 허용하게 해주는 middleWare이다. Origin옵션으로 가능한 domain을 지정할 수 있다. Cookie-parser : 토큰에 대한 정보를읽을..
-
Node로 JSON 주고받기 - CodeHan의 코딩공부BackEnd/개념정리 2022. 9. 11. 13:09
이번엔 Node로 .json파일을 주고 받아보자. 이것 역시 크게 어렵지 않다. request와 response만 이해했다면 바로 할 수 있다. const fs = require('fs'); const http = require('http'); const server = http.createServer((req,res) => { const url = req.url; const method = req.method; if(url === '/courses') { if(method === 'GET') { res.writeHead(200, {'Content-Type' : 'Application/json'}) res.end(JSON.stringify(course)) } else if(method === 'POST'..
-
Node로 서버 시작하기 - CodeHan의 코딩공부BackEnd/개념정리 2022. 9. 11. 09:48
Node로 바로 서버를 만들어서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우선 vscode나 본인이 사용하는 CodeEditer를 켠다. const fs = require('fs'); const http = require('http'); const server= http.createServer((req,res) => { const url = req.url; res.setHeader('Content-Type', 'text/html'); if(url=== '/') { const read = fs.createReadStream('./html/index.html'); read.pipe(res); } else if (url === '/course') { const read = fs.createReadStream('./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