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장 원시 값과 객체의 비교FrontEnd/JavaScript 2021. 12. 30. 16:20반응형
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다르다.
- 원시 타입의 값, 즉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다. 이에 비해 객체 타입의 값, 즉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이다.
- 원시 값을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에는 실제 값이 저장된다. 이에 비해 객체를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에는 참조 값이 저장된다.
- 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원시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값에 의한 전달이라 한다.
이에 비해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참조 값이 복사되어 전달되며
이를 참조에 의한 전달이라 한다
11.1 원시 값
원시 타입의 값, 즉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다. 변경불가능하다는 것은 변수가 아니라 값에 대한 진술이다.
변수 값을 변경하기 위해 원시 값을 재할당하면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재할당한 값을 저장한 후, 변수가 참조하던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변경한다. 값의 이러한 특성을 불변성이라 한다.
블변성을 갖는 원시 값을 할당한 변수는 재할당 이외에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11.1.2 문자열과 불변성
이미 생성된 문자열의 일부 문자를 변경해도 반영되지 안흔다. 문자열은 변경불가능한 값이기 때문이다.
원시 값은 어떤 일이 있어도 불변하기에 이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11.1.3 값에 의한 전달
변수에 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할당하면 할당받는 변수에는 할당되는 변수의 원시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복사된 변수와 기존 원시 값을 갖는 변수의 값은 다른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별개의 값이다.
따라서 복사된 변수에 할당된 값을 변경하여도 기존 원시값을 갖는 변수의 값에는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
11.2 객체
객체는 프로퍼티의 개수가 정해져 있지 않으며, 동적으로 추가되고 삭제할 수 있다.
11.2.1 변경 가능한 값
객체(참조) 타입의 값, 즉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이다.
원시 값을 할당한 변수를 참조하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원시값에 접근한다. 하지만 객체를 할당한 변수를 참조하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값을 통해 실제 객체에 접근한다.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므로 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변경하려면 재할당 외에 방법이 없다.
하지만 객체는 변경이 가능한 값이다. 즉, 재할당 없이 프로퍼티를 동적으로 추가할 수도 있고 프로퍼티 값을 갱신할 수도 있으며 프로퍼티 작체를 삭제할 수도 있다.
객체는 여러개의 식별자가 하나의 객체를 공유할 수 있다.
11.2.2 참조에 의한 전달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참조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이를 참조에 의한 전달이라 한다.
결국 "값에 의한 전달"과 "참조에 의한 전달"은 식별자가 기억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복사해서
전달한다는 면에서 동일하다. 다만 식별자가 기억하는 메모리 공간, 즉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값이 원시값이냐 참조값이냐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따라서 자바스크립트에는 "참조에 의한 전달"은 존재하지 않고 "값에 의한 전달"만이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반응형'FrontEnd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var Hoisting이 뭘까?! (0) 2023.01.22 JS엔진이 일을 처리하는 방법 (0) 2023.01.21 10장 객체 리터럴 (0) 2021.12.24 9장 타입 변환과 단축평가 (0) 2021.12.23 8장 제어문 (0) 2021.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