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figuration 환경 변수 설정 - CodeHan의 코딩공부BackEnd/개념정리 2022. 6. 21. 14:07반응형
환경변수를 설정하는 이유는?
우리가 Server에 담긴 중요한 정보를 gitHub나 OpenSource로 공유하게 되면 보안에 치명적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사용하는 Port정보나 Secrt Key같은 경우는 환경변수에 저장하는 것이 좋다.
환경변수 설정하는 법.
.env파일을 만들어 해당 COOL_COOL=123같은 형식으로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node에서 dotenv라이브러리를 추가하고 dotenv.config()를 수행한 뒤,
불러올 때 process.env.COOL_COOL로 불러올 수 있다.
이런식으로 해도 되지만 중요한 data가 변수설정이 안되어있을 수도 있고, 오타 등 유효성 검사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는게 더 안전하고 확실할까?
새로운 JS파일에 우리가 필요한 key를 Object형식으로 저장한다. 이후 오브젝트 내에서 분류하여 정리하면
가독성도 좋고 유지보수가 쉬워진다.
선언되지 않았을 위험을 개발단계에서 알아차리기 위해 함수를 선언하여 한 번 더 filtering 한다.
함수의 인수는 Key와 defaultvalue로 구성한다.
함수 내 지역변수는 process.evn[key] || defaultValue로 설정한다.
if문으로 value가 undefined이거나 null이면 throw Error를 발생시키고 value가 존재하면 값을 return한다.
반응형'BackEnd >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base (0) 2022.06.29 Socket이란? (0) 2022.06.27 Authentication에 대하여 - CodeHan의 코딩공부 (0) 2022.06.18 유효성 검사(Validataion) - CodeHan의 코딩공부 (0) 2022.06.14 MVC란 무엇인가? - CodeHan의 코딩공부 (0) 2022.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