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보나치 수에 대해 알아보자Code Etc/코딩테스트 2022. 12. 25. 15:54반응형
피보나치 수는
0번째 항과 1번째 항을 더하면 2번째 항의 값이라는 말이다.
간단히 쓰면 F3 = F2 + F1이다.
이 피보나치 수는 경우의 수를 따질 때 유용하게 쓰인다.
피보나치 수열의 n번째 항을 구하는 알고리즘은 아래와 같다.
function Fibonacci(n) { if(n <=1) return n let result = 0; let numA = 0; let numB = 1; for(let i = 2 ; i <=n ; i++) { result = numA + numB; numA = numB; numB = result; } return result }
n번째 피보나치 수열에서 n이 1보다 작거나 같으면 n을 바로 리턴한다.
그리고 n번째 숫자를 찾기 위해 result에서 두 피보나치 수 numA와 B를 더한다.
numA에 다음 피보나치 수인 numB를 할당한다.
이후 numB에 result를 할당한다.
n개의 갯수를 구하거나 1,1,2,3,5,8...같은 배열이 반복되면
피보나치 수임을 깨닫고 문제에 접근해보자!
반응형'Code Etc > 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 포인터 알고리즘이란? (1) 2023.01.06 n^2 배열 자르기 - 프로그래머스 Lv2 / JS (0) 2022.12.26 정규표현식 추가로 공부하기 (0) 2022.12.23 LRU(Last Recently Used)알고리즘 공부하기 (0) 2022.12.15 프로그래머스 LV 1 완파! (0) 2022.12.10